오늘도 돌아온 크리어스 VOD 서포터즈입니다~
제가 크리어스 VOD를 시청한지 3주차... 벌써 반이 지나갔는데요!
끝나간다는 사실은 슬프지만 갈수록 흥미로워지는 다큐 인강에 즐겁습니다:)
이번주는 본격적인 촬영 준비, 즉 프리프로덕션의 내용들을 담고있는데요~
크리어스 VOD가 알려주는 구체적인 프리프로덕션 과정,
그럼 한 번 알아볼까요?
- 3주차 인강 내용
10. 섭외대상 정하기
- 섭외대상이 정해진 경우
⟶ 현실적으로 섭외가 가능해야함
** 섭외를 위한 기획안은 "내가 어떤 기획을 했고 어떻게 연출할 것이며 다큐에서 어떤 주제를 전달할 것이다"가 아닌
섭외이유, 담고싶은 내용 (영화 내용) + 수정 가능성을 담아야함
- 섭외대상이 정해지지않은 경우
⟶사전질문지 활용하기
(내가 어떤 사람을 찍고싶은지를 정해놓아야 큰 혼란이 오지않음, 내용&기획의도에 맞는 사람 선별하기 수월함)
** 프리프로덕션에서 인물마다의 상징성을 생각하고 나중에 특징 활용 (내가 다큐에서 전하고 싶은 주제 담기)
- 처음에는 많은 사람을 만나는 것이 좋음
- 섭외를 신중하게 하고 편집도 상상하며 인터뷰하기 (영화 맥락에 맞지않으면 과감히 포기하기)
11. 연출 스타일 찾아가기
#레퍼런스 #키워드
- 프리프로덕션 과정에서 레퍼런스를 보면 연출 방향을 정할 수 있음
: 조금이라도 연관이 있는 다큐멘터리를 먼저 보는 것이 좋음
- 접점이 없는 다큐 / 다큐가 아니더라도 다른 종류의 영상 콘텐츠도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으니까 참고하면 좋음
EX. <내언니전지현과 나>의 박윤진 감독
#추억 #공간 #사회비판
- 인물의 일부분만을 보여주며 그 사람의 삶을 관객이 상상하게 만들어야 주제를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
⟶인물들의 사적인 정보 배제, 한 공간에서 한 컷으로 인물들 인터뷰
12. 피칭으로 제작비 마련하기
- 봄 프로젝트 : 신진 다큐멘터리 감독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인디다큐 페스티벌의 프로젝트, 다큐멘터리 감독과의 멘토링, 100만원 상당의 장비도 지원
- 피칭의 내용 구성 : 소재 설명, 다큐멘티리 소개 기획의도, 캐릭터, 주제
- 개봉지원금 PPT 구성 : 작품소개, 연출의도, 시놉시스, 감독소개, 캐릭터, SWOT 분석과 마케팅 콘셉트, 셀링포인트와 마케팅 전략, 마케팅 추진 일정 등
⟶ 영화 개봉에 드는 모든 비용으로 사용가능하나 부가세는 감독이 부담
EX. 온라인 마케팅 내용, 배급사 인건비, 예고편 제작, 포스터 제작, 인쇄물 제작, DCP(Digital Camera Package의 약자로 디지털 마스터링된 상영용 영화 파일), 영화관 대관 비용 등
** 여러 영화제 홈페이지에서 지원사업 (조건&자료 등) 확인하기 / 내 프로젝트 문서화는 필수!
- WORKSHEET
제가 정리하다보니까 제가 관심있어하는 키워드가 무엇인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순수 #성숙 #자유 #목표 #재시작
그래서 구체적인 프리프로덕션의 과정을 통하지는 않았지만 생각나는 몇 가지를 적어보고자합니다!
1. 나이대별로 특정 금액(ex, 100만원)의 가치
대상 : 유치원생
특징 : 아직 부모님의 도움없이는 일정 기준을 벗어나지 못하는 세대
상징성 : 아무것도 모르는 순수함 그 자체, 과연 그 돈을 온전히 자신을 위해 사용할 수 있을까?
대상 : 초등학생
특징 : 조금씩 내가 가지고 싶은 것을 직접 구매할 수 있음, 그래도 아직 제한이 많은 것은 사실
상징성 : 아직 순수하지만 자기표현을 할 줄 알고 돈의 소중함도 조금씩 느끼며 사회를 알아가는 세대 상징
대상 : 고등학생
특징 : 사회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대충은 아는 세대로 제한도 조금씩 풀리기 시작함, 부모님한테 가장 많은 지원을 받는 세대
상징성 :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일탈 시도, 자유를 꿈꾸는 세대 상징
대상 : 대학생 (20대)
특징 : 갓 성인으로 책임감이 높아지는 세대, 지불해야할 돈이 점점 늘어나는 세대
상징성 : 지원도 덜 받고 그렇다고 많은 돈을 벌지는 못하는 세대로 가장 아등바등하게 살아가는 세대 상징
대상 : 사회초년생 (30대)
특징 : 진정한 사회에 입문한 세대,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는 세대
상징성 : 가족에게 돈을 지원하면서 조금 여유로워셔서 자신을 위해서 돈을 사용하는 세대 상징
대상 : 사회에 그래도 적응한 40-50대
특징 : 결혼을 하거나 혼자 사는 세대로 책임져야할 가족이 있는 세대
상징성 : 자신보다는 다른 누군가를 위한 돈을 사용하는 새댜 상징
대상 : 60대 이상
특징 : 자신이 하던 일들의 부담감을 내려놓고 잊고 살았던 자유를 찾는 세대
상징성 : 자신들이 모아둔 돈이나 자식들한테 지원을 받아 살아가는 세대로 다시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찾는 세대 상징
** 수미상관을 이룬다고 생각
10대, 60대 : 순수와 시작
20대, 40-50대 : 아등바등하게 살아가는 현실
30대 : 둘의 공집합
2. 시선 돌리기, 카메라 뒤에 있는 스태프
대상 : 아마추어
특징 : 하고싶은 목표나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로망이 조금 있는 사람들로 열정이 넘치는 사람들
상징성 : 아직 현실에 벽을 만나지 못해 하고 싶은 목표와 열정이 하늘을 치솟는 사람들 상징
대상 : 프로
특징 : 자신이 생각하던 일과 다른 현실에 부딫힘, 하지만 자신아 하는 일에 사명감을 가지고 열심히 하는 사람들
상징성 : 현실에 치여 먼 목표보다는 자신 앞에 닥쳐있는 상황들에 더 집중하는 사람들 상징
- 3주차 크리어스VOD 인강을 듣고 느낀점
저는 이번 크리어스VOD의 강의를 들으면서 촬영을 하기 전 준비해야할 것들이 많다는 것을 느꼈고 프리프로덕션 과정이 뼈대가 되니까 가장 중요한 과정이라는 것을 다시 깨닫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특히 시간이 날 때마다 여러 영상 콘텐츠를 보면서 제가 만들고 싶은 다큐의 레퍼런스를 기록하고 점점 캐릭터와 스토리라인을 발전시켜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또한 제가 기획한 다큐멘터리를 만들게 된다면 각 대상들이 서로 만나면서 배울 것은 배우고 잊고 살았던 소중한 것들을 찾을 수 있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했습니다.
특별하지 않아도 누구나 다큐에 출연해서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매력, 예측할 수 없는 전개와 결말...
저는 다큐에 더 매료가 된 것 같습니다♥
여러분도 그런 것 같지 않으세요?
더 구체적인 내용들이 궁금하시다면 크리어스에서 준비한 다큐인강과 함께 뜻깊은 시간 보내세요!
크리어스에서는 여러분 모두를 환영합니다~
https://liveklass.com/ch/crius
콘텐츠 제작의 시작 CRIUS with VOD
크리어스 : 무비메이커의 여정 ?
www.liveklass.com
'그 외 서포터즈📣 > (완) 크리어스 VOD 서포터즈 1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리어스VOD 서포터즈 4주차 #다큐 #촬영 (0) | 2022.02.18 |
---|---|
크리어스 VOD 홍보 영상 (간단하게..ㅎ) (0) | 2022.02.11 |
크리어스 VOD 서포터즈의 블로그 작성기★ (0) | 2022.02.04 |
크리어스VOD 서포터즈 2주차 #다큐 #기획 (0) | 2022.02.04 |
다큐멘터리 <내언니전지현과 나> 리뷰 (0) | 2022.01.28 |